티스토리 뷰


유례없는 19대 대선이 조기 대선으로 치뤄지게 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정책주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조기 대선에 따른 정책주 매매 필요성, 특히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정책 구상, 문재인 정책주, 정책 관련주를 정리해보았습니다. 테마주이니 만큼 실제 기업의 실적과 재무 상태에 무관하게 급등 및 급락할 수 있으니 투자에 유의해야 합니다.



| 조기대선 → 정책주 매매 필요 시점
'16.12.9 탄핵 가결로 조기 대선이 기정 사실화 되었습니다. 헌재의 인용(Yes) 판결 여부는 알 수 없지만 현재로써는 인용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다수의 전문가들의 생각입니다. 따라서 대선 테마주들도 기존의 인맥주 중심의 상승은 막바지에 이르렀고 정책주 위주의 매매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 문재인 전 대표 정책 방향 - 정책공간 국민성장 

문재인 전 대표의 정책 방향은 지난 '16.10월에 출범한 싱크탱크 '정책공간 국민성장' 창립 심포지엄 기조 연설 내용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이 기조연설에서 자신이 당대표 시절 내세웠던 '소득주도성장'과 '경제민주화' 등을 심화시킨 개념으로 '국민성장'을 내세웠습니다. 문 전 대표는 '국민이 돈버는 성장'이라는 표현을 즐겨쓰는 것으로 전해졌다고 합니다.

<문재인 '정책공간 국민성장' 심포지엄 기조연설 내용>

정권교체를 넘어 경제교체를 이뤄야 합니다.

경제교체’를 통해 국민들 먹고사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바꿔야 합니다. 경제 패러다임의 중심을 국가나 기업에서 국민 개인과 가계로 바꿔야 합니다. 이를 통해 성장의 열매가 국민 개개인에게 돌아가는 ‘국민성장’의 시대를 열어야 합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에 공정한 거래와 경쟁이 가능한 경제 환경을 만들겠습니다. 대기업과의 관계에서 중소기업이 부당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더 많은 일자리와 창업의 기회가 필요합니다. 일하고 싶은 국민 누구나에게 일할 기회를 보장해야 합니다. 한 번의 실패로 낙오해서는 안 됩니다. 개천에서 용이 날 수 있는 사회, 7전8기가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고용 없는 성장’과 ‘성장 없는 고용’ 모두를 거부하고, 더 좋은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드는데 국가와 사회가 힘을 모아야 합니다. 

획기적인 출산지원정책이 필요합니다. 가장 효과적 대책으로 평가받는 난임시술 지원을 저소득층 위주에서 전 국민으로 확대해야 합니다. 육아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아동수당을 도입해야 합니다. 선별복지, 보편복지를 따질 때가 아닙니다. 일자리와 소득 불안정, 높은 육아비와 교육비는 자녀, 특히 둘째 자녀 출산을 기피하게 하는 가장 큰 장애물입니다. 셋째 자녀부터는 출생부터 대학 졸업까지 일체의 보육 교육 의료를, 출산율이 정상화될 때까지 국가가 책임질 필요가 있습니다. 국공립 보육시설을 입소 희망자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대폭 확충해야 합니다. 

신혼부부에게 일정 기간 동안 반값임대주택을 제공해서, 집 때문에 결혼을 못하거나 미루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부지가 필요하다면 그린벨트 사용도 검토하겠습니다. 국공립보육시설과 공공임대주택 확충을 위해 국민연금기금 일부를 투자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는 것이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것보다 훨씬 낫습니다. 

고령사회는 피할 수 없는 미래입니다. 노인 빈곤과 고립, 돌봄과 건강은 시급한 과제입니다. 현 노인세대는 대한민국의 기적을 이끌어 온 주역입니다. 어르신들이 품위 있는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그 분들에게 빚진 우리 의무입니다. 

치매 환자를 가족에게 떠넘기는 사회는 불효를 강요하는 사회입니다. 더 이상 치매 환자를 돌보는 부담을 가족에게 미루지 않고, 국가가 책임지는 ‘치매 국가책임제’를 실현하겠습니다.



| 정책 테마주 리스트 정리('16.12.9 기준)

※ 시총 및 기타 수치는 '16.12.9 종가 기준입니다.


| 경제민주화 관련주 - 공통 정책 테마주

국민성장은 경제민주화의 개념과 맥락을 같이한다고 봅니다. 또한 직접적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공정 경쟁 환경 구축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기에 대선 공약 편입이 기대됩니다. 다만 과거 중소 SI(시스템통합) 업체 수혜가 예상되어 관련 종목이 급등했고 지금도 경제민주화가 언급될 때 마다 해당 종목들이 대장주로서 급등하였으나 앞으로도 경제민주화=중소SI업체 라고 확신하기는 힘듭니다.

케이씨에스 (공통) 시총 623억 PER 64.1 PBR 3.5 
- (중소 SI업체) '12.5월 경제민주화 관련 SW 산업 진흥법 국회 통과로 중소 SI업체 경제민주화주 편입, 한국컴퓨터지주 계열사

정원엔시스 (공통) 시총 903억 PER 25.0 PBR 3.4 
- (중소 SI업체) '12.5월 경제민주화 관련 SW 산업 진흥법 국회 통과로 중소 SI업체 경제민주화주 편입

로지시스 (공통) 시총 509억 PER 73.6 PBR 3.2 
- (기타) 한국컴퓨터지주 계열사

한네트 (공통) 시총 583억 PER 28.6 PBR 1.6 
- (기타) 한국컴퓨터지주 계열사

한국컴퓨터 (공통) 시총 726억 PER 8.6 PBR 0.8 
- (기타) 한국컴퓨터지주 계열사

케이씨티 (공통) 시총 757억 PER 63.1 PBR 2.0 
- (기타) 한국컴퓨터지주 계열사

| 그린벨트 활용 반값임대주택 관련주 (문재인 정책주, 문재인 싱크탱크 출범 연설 언급)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싱크탱크 '국민성장' 출범 연설에서 언급된 '그린벨트 해제' 관련 종목입니다. 그린벨트 활용 반값임대주택 정책을 언급했습니다.

SG세계물산 (문재인) 시총 2,217억 PER 156.4 PBR 1.1 
- (그린벨트 해제) 서울시 관악구 봉천11동에 64만784㎡ 규모의 토지를 보유

| 난임시술 관련주 (문재인 정책주, 문재인 싱크탱크 출범 연설 언급)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싱크탱크 '국민성장' 출범 연설에서 언급된 '난임시술' 관련 종목입니다. 엠지메드가 관련주로 편입되어 큰 폭으로 상승했었습니다.

랩지노믹스 (문재인) 시총 866억 PER 52.6 PBR 3.9 
- (난임시술) '태아 유전자 진단' 분자진단 기술

엠지메드 (문재인) 시총 903억 PER 123.1 PBR 4.1 
- (난임시술) DNA 칩 활용 난임 부부에게 임신 확률 높은 수정란 선별 서비스

| 치매 관련주 (문재인 정책주, 문재인 싱크탱크 출범 연설 언급)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싱크탱크 '국민성장' 출범 연설에서 언급된 '치매' 관련 종목입니다. 문재인 전 대표는 치매 환자를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모나리자 (문재인) 시총 2,355억 PER 48.4 PBR 3.6
- (치매) 치매 환자 성인용 기저귀 판매

| 일자리 관련주 (공통)

국민성장 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저출산 문제와 함께 일자리 문제를 중요한 화두로 언급하였습니다. 따라서 관련 내용들이 대선 공약에 포함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관련주는 대부분 취업 포털 및 취업 학원, 창투사들 관련주가 많은데 크라우드펀딩 관련주도 신규로 일자리 정책 관련주로 부각되어 눈에 띄고 있습니다.

사람인에이치알 (공통) 시총 2,013억 PER 22.0 PBR 3.1 
- (취업포털) 온라인 기반의 취업포탈 사업과 오프라인 기반의 HR사업을 영위

에스코넥 (공통) 시총 1,351억 PER 24.6 PBR 2.0 
- (취업포털) 핸드폰케이스 생산업체, 취업사이트 커리어넷의 최대주주

윌비스 (공통) 시총 1,610억 PER 35.3 PBR 1.2 
- (취업학원) 교육사업에서 경찰학원과 공무원 학원등을 운영

메가엠디 (공통) 시총 1,054억 PER 9.1 PBR 1.6 
- (취업학원) 약학대학/의치전원 입시 전문학원

팍스넷 (공통) 시총 850억 PER 17.4 PBR 2.6 
- (크라우드펀딩) 크라우드펀딩 사업으로 창업 활성화

아시아경제 (공통) 시총 947억 PER 16.4 PBR 1.8 
- (크라우드펀딩) 팍스넷 크라우드펀딩 사업, 청년취업아카데미

우리기술투자 (공통) 시총 528억 PER 39.3 PBR 1.0 
- (창투사) 일자리 정책으로 벤처 투자 확대 기대

대성창투 (공통) 시총 968억 PER 28.1 PBR 1.9 
- (창투사) 일자리 정책으로 벤처 투자 확대 기대

에이티넘인베스트 (공통) 시총 996억 PER 9.7 PBR 1.6 
- (창투사) 일자리 정책으로 벤처 투자 확대 기대

엠벤처투자 (공통) 시총 456억 PER - PBR 1.1 
- (창투사) 일자리 정책으로 벤처 투자 확대 기대

글로본 (공통) 시총 1,565억 PER - PBR 4.5 
- (창투사) 일자리 정책으로 벤처 투자 확대 기대

큐캐피탈 (공통) 시총 1,179억 PER - PBR 2.0 
- (창투사) 일자리 정책으로 벤처 투자 확대 기대

메이슨캐피탈 (공통) 시총 364억 PER 11.8 PBR 1.0 
- (창투사) 일자리 정책으로 벤처 투자 확대 기대

제미니투자 (공통) 시총 918억 PER - PBR 11.1 
- (창투사) 일자리 정책으로 벤처 투자 확대 기대 #관리 종목

| 저출산 관련주 (공통)

저출산 문제 역시 문재인 전 대표가 언급한 주요 화두 중에 하나입니다. 기존 저출산 관련 정책주는 유아용품 관련주가 대다수였습니다. 다만 개인적으로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자녀 양육 부담을 덜어주고, 여성의 경력 단절을 줄이는 것, 궁극적으로 어느정도만 벌면 먹고 살 걱정이 없게끔 만들어주는 것이 근원적인 해결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제로투세븐 (공통) 시총 1,235억 PER - PBR 2.1 
- (유아용품) 유아용품 및 유아복 전문제조/판매

보령메디앙스 (공통) 시총 1,579억 PER 27.7 PBR 3.6 
- (유아용품) 유아용품 전문업체(물티슈·수유용품 등)

아가방컴퍼니 (공통) 시총 2,394억 PER 1,213.3 PBR 1.4 
- (유아용품) 유아의류 및 유아용품 제조업체

모나미 시총 795억, PER 14.8, PBR 1.1     
- (문구) 종합 문구류 제조
삼성출판사 시총 1,140억, PER 30.8, PBR 1.4
- (출판) 유아동 출판물 전문업체
손오공 시총 1,410억, PER 15.1, PBR 4.8
- (완구) 영/유아용 장난감 제조 및 판매





'테마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상교복 관련주  (479) 2016.12.11
화폐개혁 관련주  (474) 2016.12.11
일자리 관련주 | 일자리 테마주  (336) 2016.12.11
저출산 관련주 | 고령화 관련주  (485) 2016.12.11
문재인 관련주 | 문재인 테마주  (488) 2016.12.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