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매크로
[주요 일정]
파월 반기 통화정책 증언(7/17), ECB(7/26), FOMC(7/31~8/1)
[금리]
FRB '18년 금리 인상 4회 예상 → 2년물 국채 금리 상승 자극 ('18.7.9.)
FRB 대차대조표 지속 축소 - 10년물 국채 매도 but 금리 낮은 수준 유지 ('18.7.9.)
장단기 금리차(10YT=RR - 2YR=RR) 지속 축소 30bp 이내 ('18.7.11.)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1.5% 동결 (중앙일보, '18.7.12.)
[환율]
[유가]
70불 돌파로 물가 상승 압력 ('18.7.9.)
유가 5.0% 폭락("무역전쟁 포성 속 나타난 유가의 '세븐 사인'"한국경제, '18.7.12)
. ①미중무역전쟁 ②리비아 수출 재개 ③이란 석유에 대한 제제 예외 인정 가능성 ④ 달러 강세
⑤사우디 증산 ⑥ 미국 산유량 ↑ ⑦트럼프, 푸틴 증산 요구
[중국]
ㅇ 중미 무역전 직격탄 맞은 A주, 3년전 주식담보대출 악몽 '데자뷔' (뉴스핌, '18.6.27.)
[북한]
ㅇ 북미 미군 유해송환 회의 안열려...北참석자 안나타나 (뉴시스, '18.7.12)
[무역분쟁]
ㅇ 美, 2천억弗 中수입품에 추가 관세…G2 무역전쟁 '전면전' (연합, '18.7.11.)
- 추가 관세 10%, 내달 30일까지 2개월간 공청회와 의견수렴을 거쳐 최종 부과 대상 목록이 확정된 뒤에 발효
ㅇ 中 "美 추가관세에 보복할 수밖에 없어…WTO에 추가 제소" (연합, '18.7.11)
ㅇ 왕치산, 미중 무역전쟁 진화나선 듯…시카고 시장과 협력 논의 (연합, '18.7.12)
[지수]
ㅇ 환율과 지수 수익률을 반영한 달러 환산 KOSPI 3개월 내 하락률은 고점 대비 △14.9% ('18.7.11)
- 금융위기 이후 7번째 큰 조정, but 2011년 미국 신용등급 강등(△30%) 외에 고점 대비 15% 내외에서 반등
- 현재 금융시장 환경은 2011년과 같은 시스템 리스크가 부상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
□ 업종별
[반도체]
ㅇ (연간 컨센서스) SK hynix ↗, 삼성전자 →
ㅇ (반도체 가격) Server DRAM 완만 상승, NAND 고정가 횡보 but NAND Spot 하락 ('18.7.9.)
- (NAND 전망 △) 출하량 증가율 > 가격 하락율 / 2H18 NAND 신규 투자 감소 및 96단 이상 공정 개발 속도 감소로 수급 개선
- (NAND 전망 ▽) 연간 수요 증가율 36% < 공급증가율 42%, 특히 Enterprise SSD 시장 경쟁 심화(경쟁업체 진입)
ㅇ ‘D램 호황’ SK하이닉스, 분기 이익 5조 돌파 전망...하반기는 엇갈려 (조선비즈, 18.7.9.)
- △ 하반기 모바일용 제품 수요 회복이 예상
- ▽ D램 가격 상승폭은 줄고 낸드플래시(NAND Flash)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폭은 확대될 가능성
스마트폰, PC 시장 부진 등의 영향이 점차 본격화 될 것, 서버용 D램 수요 증가율도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
ㅇ Fo(Fan-out) WLP(원형 웨이퍼), PLP(사각 웨이퍼, 버리는 부분 X) - PCB 없이 반도체 패키징
- 반도체 후공정은 반도체의 집적도가 향상되고 미세공정에 한계가 오면서 경제성 측면에서 점점 주목 (네패스)
ㅇ 내년 3D 낸드에 10조 투자...삼성발 '메모리 치킨게임' 초읽기
ㅇ FOUNDRY업계의 전망은 매우 긍정적 ("반도체 파운더리 산업에 대해서", 씨드머니 블로그, '18.6.10)
- 시스템반도체 규모 - 메모리 3~4배, 4차산업 관련 Fabless(퀄컴,브로드컴,Arm 등) 규모 커질수록 Foundry 규모도 커져
- 파운드리 업체 "12 웨이퍼 중심 증설로 "8 웨이퍼(PMIC, DDI, CIS, 지문인식, 등) 공급 제한, 수요는 지속 증가 (동부하이텍)
ㅇ EUV 도입 확대 (기존 ArF 노광장비 한계에 따른 미세 공정을 위해 도입된 Multi-patterning 대체)
- (Logic) 2세대 7nm↓, (DRAM) 1Ynm 도입가능 but 실제 1Znm ↓, (X-point 등 차세대 메모리) 1Ynm↓,
- (3D NAND) multi-patterning
- ALD(패턴 미세화를 위해서는 증착 막질 두께 얇아야) 및 진공펌프 중요성 증대(원익IPS, 주성엔지니어링, 엘오티베큠)
ㅇ 중국 메모리반도체 양산 움직임
- 글로벌 시장 지배력↑ · 중화권 후공정 업체 고객사 장비주 수혜(한미반도체, 테크윙, 와이아이케이, 피에스케이)
- 中, 반도체 장비 시장 韓 추월 전망 : Global Y18 +10.8% → Y19 +7.8% / 中 173억$(전년비 +47%), 韓 163(△9%), 臺 123(+15%)
[스마트폰]
ㅇ 프리미엄 시장 올해 다시 성장 내년에 정점 예상 (하반기 테크 업종을 좋게 보는 이유, 한화리서치, '18.7.11)
- 아이폰6(역대 최다 판매) 2014년 하반기 출시, 2015년에도 인기가 시들지 않으면서 연간 1억 대 이상 판매, 교체수요 예상
ㅇ 스마트폰 판매 부진, 차별화 제품(MLCC, 3D센싱,중대형전지)만 고성장 ('18.7.9.)
ㅇ 삼성 '갤럭시S9' 이어 노트9 에도 'SLP' 적용한다 (전자신문, '18.5.2.)
- 스마트폰 메인 기판 HDI → SLP (HDI에 반도체 MASP 공법 적용 - 경박단소화)
ㅇ 기사본문 한국경제 애플, 아이폰 신작에 LG디스플레이 OLED 탑재하나 (한국경제, '18.7.2.)
- 200만~400만개 OLED 패널을 공급하고, 물량을 점차 늘려갈 예정
ㅇ [삼성SDI 컨콜] "갤럭시S9에 OLED 소재 공급 준비중" (아시아경제, '18.1.23.)
- 9월쯤 최종 확정될 것
ㅇ 삼성 갤럭시 S10+, 후면 트리플 카메라와 전면 듀얼 카메라 포함 총 5개 카메라 장착 (ITCLE, '18.7.9.)
ㅇ 삼성, 인도에 세계 최대 스마트폰 공장 세워(ITCLE, '18.7.9.)
- 관세 회피 목적 / 인도의 스마트폰 판매량 1.24억대 (중국 4.5억대) but 휴대폰 전체 2.9억대 시장(세계 2위 시장 잠재력)
ㅇ PCB firms post double-digit revenue growth in June (Digitimes, '18.7.11)
[디스플레이]
ㅇ OLED TV 판매량, 올해 처음 QLED 넘어서 ('18. 7. 9.)
ㅇ [단독] 7개월 끌다… 中, LGD 광저우공장 건설 승인 (한국경제, '18.7.11)
- '19년 말까지 8.5세대(2250㎜×2500㎜) OLED 패널 양산은 가능할 전망
- '21년 파주 P10 10.5세대(2940㎜×3370㎜) OLED 패널 생산 전 수요 대응 가능 전망
- 대형 OLED 전용 장비를 공급하는 야스, 아바코, 비아트론, 주성엔지니어링 장비 수주가 시작
- SDC향 장비 업체들(에스에프에이, AP시스템, 테라세미콘) 2Q 실적 중국향 수주X, 수주 잔고↓ 전분기 대비 감익
ㅇ 갑작스런 패널가격 안정화 (한국투자증권, '18.7.11.)
- LCD TV패널 가격 하락 멈춤 - BOE 패널가격 안정화 노력, TV업체 낮은 재고(가격 하락 예상에 따른 구매 순연), TV 수요 원활
- 중국 BOE와 차이나스타(CSOT)가 TV제조업체에 32인치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가격 인상을 요구 (전자신문, '18.7.12)
ㅇ [기술변화] LCD → Quantum Dot(삼성) vs OLED(LG 등)
- (SDC) BLU (청색) → QDEF(양자점 성능향상 필름) 퀀텀닷 소자 반응 (백색광) → 컬러필터 ※ (QD-OLED) 청색 BLU → 청색 OLED
- (LGD) WOLED (OLED가 발광 담당, 컬러필터가 발색 담당) ※ POLED (OLED가 발광, 발색 모두 담당)
ㅇ 하반기 8K·마이크로LED TV '개봉 박두' (전자신문, '18.7.12)
- 삼성전자는 올해 하반기 8K QLED TV 60형·70형·80형대 모델을 출시
[전기차]
ㅇ 中 전기차 배터리, 韓日 제치고 1위 올라섰다
- 2016년 12월부터 한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엔 보조금을 주지 않고 있다
ㅇ 2차전지 : CATL의 유럽 진출 영향은 미미하다 (대신증권, '18.7.11)
- 한국(LG화학, 삼성SDI)은 유럽향 배터리(전기차) 수주 과정에서 경쟁력
ㅇ 日, 2050년 해외판매 승용차 전기차·하이브리드차로 교체 추진 (연합뉴스, '18.7.9.)
ㅇ 전기차 - 영국도 공격적인 전기차 확대 발표 (유진투자, '18.7.12.)
- 2030년까지 신차 전기차 판매 비중 50~70% 제시, 배터리 업체들 오랜기간 수요걱정 X
[IT부품]
ㅇ [MLCC] MLCC 세계 1위 日 무라타, 18년만에 가격 최고 30% ↑ (서울경제, '18.7.9.)
- 아밀로이드 베타 억제제 임상 유의미 확인, 바이오젠과 에자이의 주가 각각 19.63%(+12조원), 19.64%(+5조원) 상승
[철강]
ㅇ EU마저 세이프가드…철강주 동반 하락 / '18. 7. 9.
- 미국의 철강제품 관세 부과로 인한 EU 철강업계의 피해를 막고 철강업계를 보호하기위해
EU로 수입되는 철강제품에 세이프가드를 잠정 도입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EU는 최근 몇 년간 수입량을 반영해 쿼터를 정하고 쿼터량을 초과하는 제품에 대해선 25%의 관세를 부과
[해운]
ㅇ BDI 상승('18. 7. 9.)
- 중국 철강 생산량 감소 but 조강 생산량 증가 / 굴삭기 판매량 증가 → 중국 철광석 생산량 감소분 수입 대체 → BDI 상승
'투자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시황 및 업황 정리 20180718 (338) | 2018.07.18 |
---|---|
주식 시황 및 업황 정리 20180717 (329) | 2018.07.17 |
주식 시황 및 업황 정리 20180716 (326) | 2018.07.16 |
주식 시황 및 업황 정리 20180711 (330) | 2018.07.11 |
주식 시황 및 업황 정리 20180709 (165) | 2018.07.09 |
- Total
- Today
- Yesterday
- 하락 이유
- 차기 대선 후보 지지율
- 이낙연 테마주 정리
- 당첨 기준
- 주가
- 셀트리온
- 전망
- 이재명 관련주
- 리얼미터
- 이재명 경기도 지사
- 올해 장사 끝
- 데일리안
- 빅히트 주식 환불
- 대선 후보 지지율
- 이낙연 정책주
- 세종시 관련주
- 대선 지지율
- 주식 환불
- 빅히트 주식 짤
- 이낙연 관련주 정리
- 한국 시간
- 매일경제
- 이낙연 정책 관련주
- 이재명 테마주
- 이낙연 정책
- 알앤써치
- 리서치뷰
- 실시간 미국선물지수
- 구글파이낸스
- 수도이전 관련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