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Macro 】
| 주요 일정
삼성전자 갤럭시 S10 공개(2/20), MWC 2019(2/25~28), 중국 A주 MSCI EM 편입 관련 심의 결과 발표(2/28), 한국 금융통화위원회(2/28), 연준 반기 의회보고(2월중), 2차 북미정상회담(2월중)
| 금리
▲ (미국 - 기준금리1.50%('17/12, 밴드상단) → 2.00%('18/06) → 2.50%('18/12) → 2.50%('19.1, 동결)
. 해외IB "미 금리인상 1회 or 2회"…글로벌 금리 줄줄이 동결 (연합뉴스, '19/02/11)
. 옐런 전 연준의장 "올해 美 금리인상 없을 수도" (노컷뉴스, '19/01/15)
▲ (한국 - 기준금리) 1.25%('16/06) → 1.50%('17/11) → 1.75%('18/11) → 동결
| 환율
▲ (Dollar IndeX ) Box 94.0~95.5 ('18.6~10월) → 97.5 (12월) → 95.5 ('19.1월) → 96.9 ('19/2/19)
▲ (EUR/USD) Box 1.150~1.180 ('19.6~7월) → 1.175 ('18.9월) → 1.126 ('18.11월) → 1.131 ('19/2/19)
▲ (USD/CNH) Box 6.80~7.00 ('18.7월~) → 6.97 ('18.10월) → 6.78 ('19/2/19)
. 중국, 7위안/$ 넘는 위안화 약세를 용인 가능성 낮음 : 6.8~7.0 Box (메리츠, '18/8/07)
▲ (USD/KRW) Box 1,110~1,140 ('18.6월~12월) → 1,140 ('18.10월) → 1,127 ('19/2/19)
| 유가
▲ (WTI) 62.0 ('18.3월) → 75.0 ('18.10월) → 43.0 ('18.12월) → 56.4 ('19/2/19)
| 통화, 재정정책
▲ (미국) 더들리 “연준 대차대조표 2.9조달러가 적절” (뉴스핌, '18. 2. 4)
. ('17.10~) 매달 100억 달러 만기 도래 채권 재투자 중단, 3개월 마다 한도 ↑ ('17 4.5조$ → '21 3조)
▲ (유럽) LBBW "ECB 2020년에 금리인상…유럽 국채금리 천천히 오를 것" (연합, '18. 7. 20)
▲ (중국) China Risk 핵심 : 부채조정(Deleveraging), 무역분쟁 불확실성 (북경의 시각, 삼성증원, '18. 7. 18)
▲ (중국) “무역전쟁 마주한 중국 ‘빚 줄이기’ 일단 유보”(파이낸셜뉴스, '18. 7. 13)
▲ (중국) “인민은행‘돈 보따리 풀 것’, 중국 통화 정책 중립에서 완화로 선회”(뉴스핌, '18. 6. 29)
▲ (일본) 구로다 BOJ 총재 “장기금리 0.2%까지 용인” (뉴스핌, '18. 8. 1)
. 금리는 동결, But YCC(Yield Curve Control) 장기금리 용인 수준 0.1% → 0.2%
| 무역분쟁
▲ (미국-중국) 美, 500억$(25%) 관세 부과 완료, +2,000억$(10%~25%) 관세 의견 수렴, +2670억$
▲ (미국-중국) 中, 500억$(25%) 관세 부과 완료, +600억$ 관세 부과 경고
. 중국 보복은 하고 싶은데... 실탄이 없다 - "미국의 대중 수출액이 1299억 달러에 불과" (뉴스1, '18. 7. 11)
. 므누신·류허 물밑접촉 `빈손`으로 끝나 (매일경제, '18. 8. 5)
. 中 증권 당국, 무역전쟁 와중에도 금융시장 개방 박차 (연합, '18. 8. 10)
▲ (미국-EU)
. 트럼프-융커 'EU 관세장벽 낮추기' 합의…무역갈등 완화 돌파구 (전자신문, '18. 7. 26)
. 미-EU, 세계무역기구(WTO)를 개편하는 작업에도 함께 착수하기로 (아시아경제, '18. 7. 26)
▲ (기타)
. EU-중국, WTO 재편 논의 워킹그룹 구성키로 (아주경제, '18. 6. 18)
. 미, 멕시코와 타결 하루만에 캐나다와 나프타 협상 (KBS, '18/8/29)
| 북한
▲ 북미 미군 유해송환 회의 안열려...北참석자 안나타나 (뉴시스, '18. 7. 12)
▲ 트럼프 "북한 비핵화 협상 서두르지 않을 것" (YTN, '18. 7. 16)
▲ 北, 동창리 발사장 이어 평양 인근 ICBM 조립시설 해체 (뉴스핌, '18. 7. 25)
▲ 트럼프, 北서해발사장 해체 "환영"…폼페이오 "김정은 약속이행 (연합뉴스, '18. 7. 25)
▲ WP, 美 정보당국 인용 "북한 산음동서 새 ICBM 제작 징후 포착" (코나스, '18. 7. 31)
▲ 미군유해 55구, 65년만에 하와이로 봉환…펜스 "희망의 시작" (연합뉴스, '18. 8. 2)
▲ 남북고위급회담 13일 개최…“정상회담 준비 협의” (KBS뉴스, '18. 8. 10)
▲ 남북 고위급회담 공동보도문…"정상회담 9월 평양에서" (뉴시스, '18. 8. 13)
▲ 트럼프 "김정은과 2차 정상회담 하게 될 것" (YTN, '18. 8. 21)
▲ 트럼프 “김정은과 환상적 관계…美, 北과 잘하고 있어” (중앙일보, '18. 8. 30)
▲ 대북특사, 평양 거쳐 이번 주 워싱턴행…김정은 메시지 주목 (KBS, '18. 9. 5)
▲ 트럼프 “북한 열병식에 핵무기 없어…김정은에 고맙다” (뉴스핌, '18. 9. 10)
| 수급, 지수
▲ (코스피) 주요 지지/저항
① 2,320 ('18.7~8월 Box 상단)
② 2,260 ('18/07~ 박스 하단)
③ 2,220 (직전 저점)
▲ (코스닥) 주요 지지/저항
① 830 (1H18 박스 하단)
② 790 (4Q17 박스 상단, 직전 박스 상단)
③ 750 (4Q17 박스 하단, 직전 저점)
| 기타 지표
▲ (미국 제조업 PMI) 60.2 ('18.6월) → 58.1 (7월) → 61.3 (8월)
▲ (중국 제조업 PMI) 51.5 ('18.6월) → 51.2 (7월) → 51.3 (8월)
▲ (유로 제조업 PMI) 54.9 ('18.6월) → 55.1 (7월) → 54.6 (8월)
▲ (한국 제조업 PMI) 49.3 ('18.6월) → 48.3 (7월) → 49.9 (8월)
▲ (한국 경기선행지수) 100.4 ('18.03) → 100.0 ('18.06) → 99.8 ('18.07)
【 Industry 】
| 반도체 : 초호황 → 호황 / 가격(P)보다 양(Q)에 투자 필요
▲ [가격] DRAM 하락 압력, NAND 하락 시작
△ [DRAM 현물] DDR4 4Gb : 4.9 ('17/12/31) → 4.5 (3/30) → 4.03 (6/29) → 3.89 (7/31) → 3.76 (8/17)
△ [DRAM 선물] DDR4 4Gb : 3.94 (4/26) → 4.0 (7/27~)
. 4Q18 하락 예상, 모바일 세트 업체 단가 인하 압력
△ [NAND 현물] NAND 64Gb : 4.06 ('17/12/31) → 3.84 (3/30) → 3.61 (6/29) → 3.29 (7/31) → 3.12 (8/30)
△ [NAND 선물] DDR4 4Gb : 3.69 ('17/09/21) → 3.55 (8/10~)
▲ [수요 - 제품별 비중 ] 2017년 기준, PC 13%, 스마트폰 41%, 서버 24%
▲ [수요 - Mobile DRAM] 2H18 신규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로 반등?
. Mobile DRAM 고객 비중 (삼성 15%, Apple 16%, Huawei 13%, Oppo/Vivo 12%, Xiaomi 9%)
. 모바일 세트 업체들의 가격 하락 압력 증대 (미래대우, '18/08)
▲ [수요 - Server DRAM] 수요 견조
. 글로벌 데이터 트래픽은 연평균 27% 증가, Video 비중 54% ('16) → 70% ('21) (BNK,'18/08)
. Amazon, MS, Google, Facebook 4개 업체 1H18 CAPEX는 323억 달러 (17년 전체의 74%)
. 데이터센터 →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전환 추세, D램 탑재량 ↑ (BNK투자증권, '18. 8. 1)
. 주요 업체들 인공지능/자율주행/5G/빅데이터 추가 투자 포기하지 않는 한 갑작스런 수요 붕괴 X
▲ [수요 - PC DRAM] PC 수요 개선 시작
. 2Q18 PC 출하량 전년 대비 +1.4% / 출하량 증가 6년만에 처음, 추정치 상회
. ① GPU 가격 하락으로 게이밍 PC 수요 증가 ② 업무용 PC 교체주기 도래 ③ 2019년 인텔 신제품 수요 부각
▲ [수요 - SSD] 2H18 고성장 재개
▲ [공급] 미세 공정 전환 속도 한계로 투자 대비 Bit Growth ↓, 단위 당 CAPEX ↑
. 10nm 이하 디램, 64단 이상 3D 낸드 공정, 설비투자에 비해 Bit Growth 창출 효과 축소
. (삼성) 1ynm DRAM 양산 비중: 2Q18 1% → 4Q18 11%
. (SK하이닉스) 1xnm DRAM 양산 비중: 1Q18 7% → 4Q18 33%
▲ [공급-DRAM] 수요에 대응한 공급 증가 전략(수익성 위주)
. (삼성) Fab 16(화성, 40K/월) : 15K~40K (2Q18~3Q)
. (삼성) Fab 11·13 (CIS 전환 △60K/월) : Fab 11 △10K (1Q17), △20K(4Q17~1Q18), Fab 13 △30K(3Q18~4Q)
. (삼성) 평택 1기 2층 (Fab 18, 61K/월) : 18K~38K (2Q18~4Q), + 40K 규모 투자 공간 有
. (삼성) 평택 2기 건설 중, Ph3 부지 확보 상태
. (Hynix) M14 (청주 2층) +20K/월 (3Q18~)
. (Hynix) Wuxi Fab 1 (Capa. 140K/월) △20K/월(2Q18~, 미세공정에 따른 Capa. Loss)
. (Hynix) Wuxi Fab 2 ph1 (Capa. 50K/월) Capa. Loss 20K 보완분 출하 예상 (2Q19~)
. (Hynix) Wuxi Fab 2 ph1 (Capa. 50K/월) ???
. (Hynix) M16 증설(시설투자 '18/12~'20/10, 양산 2H19~)
▲ [공급-NAND] 공급 과잉 → 가격 하락 지속 예상
. (삼성) 3D NAND 장비 투자 규모 : 2조 (Y18, 기존 계획 4조) → 5조 (Y19, 기존 7조)
. (삼성) 평택 1기 2층 (70K) ph1 30K/월 (MP 1Q18~)
. (삼성) X1 (Xian ph1, 100K) 63K/월 (3Q19~)
. (삼성) X2 (Xian ph2, 120~150K) 65K/월 (4Q19~)
. (Hynix) M15(청주) ph1 55K/월(1Q19~), M15 ph2 15K/월(2Q19~)
. (Hynix) NAND CapEx 급증, SSD 점유율 상승 본격화 (CapEx '16년 15억달러 → '19년 89억달러)
▲ [공급] 중국 메모리반도체 굴기
. “2020년까지 메모리 반도체에 중국 영향 미미”-19년 글로벌 공급량 3% 미만,기술력↓(NH, '18. 3. 5)
. DRAM 계획 대비 진척 지연, NAND 일부 양산 (창창메모리 32단 NAND 5K/월 양산, 2H18~)
. 수율이 낮을 수 밖에 없는 중국 반도체 업체는 후공정 장비주 수혜 예상(한미반도체, 테크윙)
▲ [기술] EUV 도입 확대 (기존 ArF 노광장비 한계로 인한 미세공정 Multi-patterning 대체)
. (Logic) 2세대 7nm 이하 적용
. (DRAM) 1Ynm 도입 가능 but 실제 적용은 1Znm 이하, (X-point 등 차세대 메모리) 1Ynm 이하
. (3D NAND) multi-patterning 활용 지속
. ALD(패턴 미세화 - 증착 막질 두께 얇아야) 및 진공펌프 중요성 ↑(원익IPS, 주성엔지니어링, 엘오티베큠)
▲ [기술] DRAM 시장에 HBM이 빠르게 침투될 전망 (HBM이 바꿀 DRAM 미래, 신한, '18/08)
▲ [Logic] Fo(Fan-out) WLP(원형 웨이퍼), PLP(사각 웨이퍼, 버리는 부분 X) - PCB 없이 반도체 패키징
▲ [Foundry] Foundry 업계 전망 긍정적
. 시스템반도체 규모 - 메모리 3~4배, Fabless(퀄컴,브로드컴,Arm 등) 규모 커질수록 Foundry 규모↑
. 파운드리 "12 웨이퍼 중심 증설로 "8(PMIC, DDI, CIS, 지문인식, 등) 공급 제한, 수요 지속 증가 (동부하이텍)
| 스마트폰 : 수요 둔화 / 기술 변화에 따른 신규 부품 주목 필요
▲ (수요) 스마트폰 성장 둔화('18 출하량 △3.0%), 교체주기 길어지는 중 ('13 28.3M → '17 29.5M)
. 2018년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3.5억대 (△2.8% YoY)
. '17 미국 · 중국 역성장, 인도 · 아프리카 고성장 / '20년 5G 도입 이후 교체 수요 발생 예상
. ① 보급율 증가('17년 73%) / ② 통신사 보조금 감소 (정부규제, 교체주기 길어짐)
▲ (공급) 갤럭시노트9부터 신형 아이폰까지...가을전쟁 막 오른다 ('18. 8. 6)
. (삼성, 8/24) △갤노트9 (6GB램, 4000mAh 배터리, S펜+블루투스, 빅스비 2.0, 공개 8/9, 출시 8/24)
. (애플, 9/21) △아이폰XS(6.5" OLED, 듀얼) △아이폰XS+(5.8" OLED, 듀얼) △아이폰2018 (6.1" LCD, 싱글)
▲ (기술) 스마트폰 메인 기판 HDI → SLP (HDI에 반도체 MASP 공법 적용 - 경박단소화 / 삼성전기)
▲ (기술) 방열시트 적용 확대 : '17년 아이폰 2개 → '18년 전모델 + 중국 프리미엄 신모델 (SKC코오롱PI)
▲ (기술) 인피니트 디스플레이 + 전면 지문인식 확대
. 삼성전자, 갤럭시S10와 A시리즈에 초음파식, 광학식 FOD 각각 적용 예정 (전자신문, '18/08/07)
▲ (기술) 대당 카메라 탑재 수 증가
. 듀얼카메라 넘어…갤럭시S10‘4개의 눈’ 달고 출격 (헤럴드경제, '18. 7. 19)
▲ (기술) 전·후면 3D 센싱 모듈이 탑재 : (전면 - SL) - 보안 (후면 ToF) - 심도 측정, 증강현실, 인공지능
. LG이노텍 애플에 3D센싱모듈 공급 늘릴 수도, 삼성전기도 기회 (비즈니스포스트, '18.2.7)
. 애플 아이폰 3D 센싱 탑재 모델 수 '17년 1개 → '18년 3개 전망, '19년에는 후면 ToF 모듈 탑재 가능성
▲ (기술) OLED 디스플레이 탑재 증가 : 아이폰 OLED 비중 '17년 15% → '18년 47% → '19년 61%(E)
. RFPCB(비에이치), PI필름(SKC코오롱PI), FPCB 도금(와이엠티)
. 당사가 Apple의 공급 채널에서 체크한 Apple OLED 물량은 5,500~ 6,000만대 수준 (NH투자, '18. 6. 15)
▲ (기술) 5G 도입 - 안테나 소재 변경 : LDS → FPCB or LPC
. LDS 고주파 대응 불가, 비에이치 국내 고객사향 중저가모델 '19년 FPCB 안테나 공급 준비, 애플은 LCP
▲ (기술) 5G 도입 - 대당 탑재 필터 수 증가 : 4G 30~40개 → 5G 60개 (와이솔)
. 이전 세대 주파수 대역 커버 / 새로운 주파수 대역 추가로 대당 탑재 수 증가
. 2.5GHz ↑ 주파수 대역 Baw(Bulk Acoustic Wave) 필터 필요
▲ (기술) 폴더블 출시 - Base 필름 변경 : Pet → PI (SKC코오롱PI)
▲ (기술) 폴더블 출시 - 커버 유리 변경 : 유리 → CPI (투명PI / 스미모토, SKC, 코오롱인더)
▲ (기술) 폴더블 출시 - 패널 탑재 수 증가로 FPCB 탑재 증가 (FPCB - 비에이치 / PI필름 - SKC코오롱PI)
▲ (기술) 폴더블 출시 - 터치센서 소재 변경 : ITO(투명전극) → 은나노(원익큐브) or 메탈메쉬(이엘케이)
| 디스플레이 : LCD 장기 하락, 대형 OLED 성장, 중소 OLED 반등
▲ (가격-LCD) 갑작스런 패널가격 안정화 (한국투자증권, '18.7.11.)
. LCD 패널 가격 하락 멈춤 - ① BOE 패널가격 안정화 노력, ② TV업체 낮은 재고, ③ TV 수요 원활
▲ (가격-중소형 Rigid OLED) Rigid OLED 패널 가격 하락 추세 (LTPS LCD 경쟁)
▲ (가격-중소형 Flexible OLED) 삼성향 ASP 지속 하락, 애플향 ASP 인하 압력
▲ (가격-대형 OLED) 731 (3Q17) → 697 (4Q17) → 696 (1Q18) → 713 (2Q18) → 732 (3Q18)
▲ (수요-중소형 OLED) '18년 OLED 스마트폰 출하 4.3억대 (+26% y-y) 전망
. Flexible OLED 스마트폰 출하 1.6억대 (+73%, 애플 신모델향 7천만대 가정=+50%)
. Rigid OLED 스마트폰 출하 2.7억대 (+7%, 중화권 +25%, 삼성향 -12%)
. BOE, 화웨이에 플렉시블 OLED 공급 (전자신문, '18/7/12)
▲ (공급-중소형 OLED-SDC) 2Q 저점으로 3Q부터 회복 전망
. SDC Flexible 패널 출하물량 1억 9,300만장 (+24.9% y-y), 대부분 애플 영향
. SDC Rigid OLED 패널 출하물량 2.6억만대 (+5.4%) 전망, 중화권 +25%
. A3 (Capa. 135K/month, 애플 105, 삼성 30) 가동율 100% (4Q17) → 10% (2Q18) → 70% (3Q18)
. A4 (Capa. 30K/month, 와이옥타) Ph1. 10~15K/월 Ramp-up(1Q19~), Ph2. 10~15K Ramp-up(2Q19~)
. 삼성디스플레이, A4공장 양산 준비...10월께 재가동 - 중국향 + A3 삼성향 물량 이전 (전자신문, '18/8/13)
. A5 건물 신축 지반 다지기 작업 이후 소강, 폴더블폰, QD-OLED 양산 시점에 신규 투자 구체화 예상
▲ (공급-중소형 OLED-LGD) LGD, 아이폰 신모델 후속물량(6.5” POLED) 약 300만대 공급 예상(듀얼벤더)
. E2 (4.5G, 22K/월) LGE향 POLED, 애플 워치
. E5 (6.5G, 15K/월) 구글 픽셀(기존), 화웨이 · Sony 물량 일부 양산(2H18~)
. E6 (Ph1, 15K/월) Ramp-up(4Q18~), '18 iPhone 후속물량 듀얼벤더, '19년 초도 듀얼, '20년 초도 트리플(+BOE) 예상
. E6 (Ph2) 2020년 LTPO라인으로 MP 예상, ph3 무기한 연기 예상
. FPCB(LG이노텍, 영풍전자), SKC코오롱PI(PI Film, PI Varnish), Driver IC(실리콘웍스)
▲ (공급-중소형 OLED-중국) BOE, CSOT 양산 시작, 수율 개선 단계
. (BOE) B7 Ph1 (48K/월, 6G, Rigid & Flexible) 수율 개선 단계, 한국 품질 기준으로 수율 20% 추측
. (BOE) B7 Ph2 양산(Target 3Q18~)
. (BOE) B11 (Ph1, 애플전용) 양산(Target 4Q19~)
. (CSOT) T4 (Ph1, 15K/월) 15K 양산(Target 2Q19~)
▲ (공급-대형 OLED) LGD, OLED TV capa 3배 성장 ('18년 280만대 → '20년 650만대 → '21년 900만대)
. (LGD) 광저우 8.5G Fab P10A 초기투자 60K/월, '19.6월 가동 예상, +30K/월 이상 추가 투자 가능
. (LGD) P10 (파주, 10.5G) 양산(2021년~)
. (LGD) 국내외 LCD 전환투자, 광저우 추가 투자 가능성 有 (미래대우, '18/08)
▲ [기술- Apple] 2020년 LTPO(Low Temperature Polysilicon Oxide) TFT 채택 예상
. 전력 소모 -20%, 스위치 TFT에는 LTPS, 구동 TFT에는 LTPO(IGZO Oxide)
. SDC, LGD(E6 ph2) 모두 기술 개발 중
▲ [기술-SDC] Quantum Dot → QD-OLED → Micro LED
. (Quantum Dot) 청색 BLU → QDEF(양자점 성능향상 필름) 투과, 퀀텀닷 소자 반응시켜 발광, 컬러필터 발색
. (QD-OLED) 청색 BLU를 청색 OLED로 대체
. (Micro LED) 올해 하반기 8K QLED TV 60형·70형·80형대 모델을 출시
▲ [기술-LGD] WOLED
. (WOLED) OLED가 발광 담당, 컬러필터가 발색 담당
▲ [기술] 잉크젯 프린팅
. 대만 AUO, 증착 건너뛰고 잉크젯 프린팅 OLED 직행 (전자신문, '18. 8. 2)
| 전기차, 2차전지 : 초장기 성장 섹터
· I T | 2018년 +2.3% y-y |
· 전기차 (xEV) | 2018년 +34.0% y-y |
· ESS | 2018년 +28.6% y-y |
▲ ( I T ) 시장 성숙기 진입, Cordless Non-IT 기기 중심 성장 (전동공구)
▲ (EV : Electric Vehicle) 452만대 (2018년, +23% y-y) → 800만대 (2020년)
. 2016년 ~ 2025년, BEV CAGR +44.4%, EV CAGR +32.2% (IBK, '18/06)
. 미국 '18.1~8월 EV 판매량 190,046 (+57% yoy)
. 국제 환경 규제, 주요 국가 환경규제로 내연기관차 퇴출 추세(유럽, 중국, 일본)
. 주요 자동체 업체들 구체적 전기차 생산 계획 수립 (BMW, 폭스바겐, 다임러, GM, 도요타, 테슬라 등)
▲ (ESS : Energy Storage System) 용량 4.6Gwh ('17년) → 16.1Gwh ('20년) → 90GWh ('25년)
.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으로 ESS 수요 확대
.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는 자연에 의존하는 발전 원리상 전력 생산량의 변화 폭이 커 ESS가 더욱 필요
▲ [Capex] 국내 3사 + CATL 배터리 Capa. 투자 규모 성장율 상향 추세
. (국내 고객사 투자 지속) 국내 3사 Capa 건설 Project +14Gwh ('18) → +15.1Gwh ('19) → +22.1Gwh ('20) (IBK 자료 재조합, MP, Target 시점 Capa 년도별 단순 평균)
▲ 日, 2050년 해외판매 승용차 전기차·하이브리드차로 교체 추진 (연합뉴스, '18/07/09)
▲ EU - 영국도 공격적인 전기차 확대 발표 (유진투자, '18/07/12)
. 2030년까지 신차 전기차 판매 비중 50~70% 제시, 배터리 업체들 오랜기간 수요걱정 X
▲ 인도, 5년내 전기차 판매비중 15% 계획 (유진투자, '18/09/07)
▲ 中 전기차 보조금 축소('18년~), NEV Credit 제도 시행('19년)
. 배터리 업체 손익 악화, 경쟁력 상위 업체만 살아남을 것, 향후 국내업체 진입 기대
▲ 중국 전기차 생산 감소에…리튬 가격 올들어 26% ‘뚝’ (에너지경제, '18/08/06)
▲ 배터리업계 '코발트 공포' 벗어나…코발트값 6만달러대 뚝 (뉴스1, '18/08/05)
. 2020년까지 4만달러대 안정화…주요 생산국 공급 증가 영향
▲ 中 전기차 배터리, 韓日 제치고 1위 올라섰다 (조선, '18/07/09)
. 2016년 12월부터 한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엔 보조금을 주지 않고 있다
▲2차전지 : CATL의 유럽 진출 영향은 미미하다 (대신증권, '18/07/011)
. 한국(LG화학, 삼성SDI)은 유럽향 배터리(전기차) 수주 과정에서 경쟁력
| IT/전장부품 : MLCC 구조적 성장
▲ [가격] MLCC 세계 1위 日 무라타, 18년만에 가격 최고 30% ↑ (서울경제, '18.7.9.)
▲ MLCC 빅사이클 벌써 멈췄나?…관련주 '주춤' (한국경제, '18. 7. 31)
. 중저가 MLCC 가격이 하반기에 하락전망에 대만 야게오와 화신이 하한가
. 중저가 IT 제품 위주 납품하는 대만 업체에 비해 국내 업체 전략 고객과 장기 계약
| IT/인터넷 : MAU(Monthly Active Users) 기반 상승 제동, AI·클라우드·서비스 성장 유효
▲ 아마존 주가 ‘고공행진’페북·트위터 ‘폭락’… FANG의 지각변동 (디지털타임즈, '18. 7. 29)
▲ 저무는 SNS 시대 … 페이스북 지고 아마존 승승장구 (중앙일보, '18. 7. 29)
▲ FAANG 가고 MAANG…마이크로소프트, 18년만에 주도주로 부활하나 (조선비즈, '18. 8. 3)
. MS는 인공지능(AI), 클라우드(Cloud), 사물인터넷(IoT)으로 수익구조 다변화
.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이 광고에서 커머스, 클라우드로 바뀌는 상황
▲ [CAR-T] 글로벌 CAR-T 세포치료제 시장 年 54% 성장
. (면역관문억제제) 면역세포에 있는 관문(checkpoint - 면역 세포 작용 촉진 및 저지)에 암세포 접촉 차단
| 정유/화학
| 철강/해운/조선/건설/기계
▲ [철강]
. (철광석 가격) 71 (17년 평균) → 67 (1H18 평균) → 61 (7~8월 평균) → 63 (9/10)
. (중국 내수 열연 가격) 563 (17년 평균) → 647 (1H18 평균) → 632 (7~8월 평균) → 633 (8/10)
▲ (해운) BDI 901 (2Q17) → 1,476 (5/14) →1,309 (6/27) → 1,773 (8/3) → 1,490 (9/10)
▲ (조선) 수주 환경 개선, PBR 0.6배로 저평가,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
. 수주 목표 比 달성율 ① 현중 63.3% ② 대조양 64.7% ③ 삼중 56.5% ④미포 34.3% (NH, '18/08/21)
▲ (건설) 17년 세계 250개 건설사 해외매출 전년비 3.1% 증가(3년만), '18년 증가 지속 예상
. 8/27 주택공급 확대정책 30만호 이상 신규건설 토지 공급
. 내년 해외 수주 회복, 건설업 전체 수주액이 성장세로 전환 예상
▲ (기계) 中心퍼올린 韓 굴착기…하반기도 '고공행진'
. 중국 굴삭기 판매량 : 8월 10,106대 (+27% yoy), 누적 130,671대 (+52.3% yoy, '17년 130,630대)
. '18년 중국 굴삭기 판매 전망 상향(15~17만대 → 17~18만대, 미국 주택시장 호조
| 자동차
| 화장품/면세
| 미디어/엔터/게임
▲ 스마트폰 / IT 부품
▲ 통신/장비
'투자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스닥 폭락 이유 (464) | 2020.10.29 |
---|---|
BBIG 관련 종목 주가 전망 (478) | 2020.10.23 |
Macro & Industry ('18/09/10) (473) | 2018.09.10 |
Macro & Industry ('18/09/03) (495) | 2018.09.03 |
Macro & Industry ('18/08/30) (470) | 2018.08.30 |
- Total
- Today
- Yesterday
- 데일리안
- 주식 환불
- 이낙연 정책주
- 한국 시간
- 올해 장사 끝
- 구글파이낸스
- 매일경제
- 당첨 기준
- 이낙연 관련주 정리
- 이재명 테마주
- 하락 이유
- 이낙연 테마주 정리
- 셀트리온
- 이재명 경기도 지사
- 수도이전 관련주
- 주가
- 대선 지지율
- 리얼미터
- 실시간 미국선물지수
- 리서치뷰
- 이낙연 정책 관련주
- 빅히트 주식 짤
- 알앤써치
- 차기 대선 후보 지지율
- 세종시 관련주
- 빅히트 주식 환불
- 전망
- 대선 후보 지지율
- 이낙연 정책
- 이재명 관련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